자기계발
도전력 / 서울대 경영학 김병도 교수
도전력
![]() |
책 제공 : 거인의 서재 서평 이벤트 |
<서 평>
이 책은 총 5장으로 도전력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
- 1장. 다이내믹 코리아가 사라지고 있다
- 2장. 무엇이 우리의 도전을 가로막는가
- 3장. 도전, 인간의 존재 이유
- 4장. 자유, 보상, 존경으로 환경을 리셋 하라
- 5장. 당신의 컴퍼트존을 벗어나라
프롤로그에 들어가기 전에
이런 글귀가 있다. 도전력이라는 이 책에 딱 어울리는 글귀가 아닌가 생각된다. 끊임없이 도전하라는 메시지로.
프롤로그에 책에 대해서 간략히 소개를 한다. 각 장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를 하면 1장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도전정신이 사라진 다양한 증거를 2장에서는 우리 국민들이 도전정신이 저하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3장에서는 우리가 도전정신을 가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말해주며 4장에서는 도전정신의 회복을 위해서 사회와 조직, 제도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5장에서는 개인이 도전정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살펴본다.
미국은 유럽인들의 신대륙에 대한 도전으로 시작한 나라답게 최근까지 각 분야에 대해서 위험을 감수하면서 도전하여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였고 1달러 지폐 뒷면에 시대의 새 질서라는 글귀를 새겨 넣었다고 한다. 이것만으로도 미국의 도전정신이 충만한 국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최근들어서는 그런 도전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여러 지식인들은 그런 현상을 걱정한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한강의 기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었을 만큼 빠른 시기에 높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단 50여년 만에 선진국으로 성장을 했지만 21세기에 들어서 그런 성장은 멈칫멈칫하게 되면서 n포세대라는 말까지 생겨났다.
그래서 요즘 세대는 한국을 헬조선이라고 표현한다. 하지만 김병도 씨는 운은 통제할 수 없지만, 주어진 운명은 선택할 수 있다고 한다. 어떤 삶을 택할지는 자신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이 말만 들으면 말이 쉽지 현실적으로 그런 것이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 들기만 한다. 하지만 같은 상황이라도 마음을 어떻게 먹으냐에 따라서 다르게 상황을 받아들인다는 건 어느 정도 수긍이 간다. 그리고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자신의 꿈에 도전하는 것도.
배가 항구에 정박해 있으면 안전하지만 배가 가지는 의미는 없어진다. 사람도 그렇지 않나 싶다. 안전만을 고수하면서 산다면 평온하고 안전하겠지만 의미는 없을 것 같다. 새로운 것에 도전하면서 경험하고 느끼고 생각하기에 살아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지 않나 싶다. 도전하기에 고로 존재하는 것이 아닐까.
이 페이지를 봤을 때 머릿속에 슥 지나가는 경험이 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 어릴 때부터 물을 무서워했다. 그래서 수영을 한다는 것은 생각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바다를 가면 해양스포츠를 하는 사람들을 보면서 나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고 제일 먼저 수영을 배웠다. 수영장에 처음 들어갔을 때 물 높이가 고작 가슴 높이 정도였지만 무서웠다. 30분도 안돼서 입술이 파래질 정도였지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 배워 나갔다. 남들에게는 별거 아닐 수영 강습이었지만 나한테는 나름 큰 도전이어서 인지 자유수영을 쉬지 않고 50m를 갔을 때는 놀랍기만 했고 수영을 하는 그 자체가 하나의 즐거움이 되었다. 뭐 대단한 도전은 아니지만 이렇게 작은 도전이라도 나 자신에게는 조금 성장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새로운 일에 도전하는 일이야말로 인간의 존재 이유라는 이 말을 평생 잊을 수 없을 듯하다.
댓글 쓰기
0 댓글